본문 바로가기
경영

하버드 교수가 삼성전자 사장으로… 박홍근 교수는 누구인가?

by 최미나 에디터 2025. 11. 21.
반응형

최근 삼성전자가 미래 기술 연구를 총괄하는 SAIT(삼성미래기술연구원) 신임 원장으로

하버드대학교 홍근 박(Hongkun Park) 교수를 영입했습니다.

국내외 과학계에서 “초격차 기술을 이끌 학자”라는 평가가 나오며 큰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박홍근 교수의 학력·경력부터 대표 연구, 주요 논문, 그리고 과학계에서의 평판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1. 박홍근 교수의 기본 프로필

www.physics.harvard.edu

  • 1967년생 서울대학교 화학과 수석 졸업
  • 스탠퍼드대학교 화학 박사(1996)
  • UC버클리·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포스트닥 1
  • 999년 하버드대학교 교수로 임용
  • 2026년 1월 1일 삼성전자 SAIT 사장(원장) 취임 예정

 

하버드대 교수 출신이 대기업 사장으로 직행하는 사례는 매우 드문데,

이는 박 교수의 연구 성과가 산업적으로도 의미가 크다는 방증입니다.

2. 고등학교부터 대학까지 학력 정리

  • 고등학교: 현재까지 공개 자료에서는 ‘출신 고등학교’가 확인되지 않음
  • 대학교: 서울대학교 화학과(1990년 졸업) – 전체 수석으로 졸업한 것으로 알려짐
  • 대학원: 스탠퍼드대학교 화학과 박사

 

서울대–스탠퍼드–하버드로 이어지는 ‘세계 최상위 트랙’이라는 점이 눈에 띕니다.

3. 하버드대학교 경력과 알려진 평판

  • 하버드대 공식 사이트와 연구실 정보를 종합하면 박 교수는 다음과 같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나노과학·양자기술 분야 글로벌 석학
  • 다수의 Nature·Science·PNAS 논문 발표 구글 스칼라 기준 인용 56,000회 이상
  • 미국·유럽에서 “양자재료·나노바이오 인터페이스의 선도 과학자”로 평가
  • 하버드대에서도 차세대 디바이스 연구를 주도하는 핵심 교수로 꼽힘

 

특히 물리, 화학, 나노공학, 바이오를 아우르는 융합 연구의 폭이 넓어,

삼성이 원하는 차세대 기술 리더십과 직결되는 인물이란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4. 박 교수의 주요 연구 분야

박 교수의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① 양자·나노 디바이스 연구

- 단일 분자 트랜지스터 - 스핀·전자 상관현상을 활용한 차세대 소자

- 2D 반도체(그래핀·TMD)

- 양자동역학 기반 신소재 개발 하버드 연구실에서도 이 분야는 핵심 축입니다.

② 나노–바이오 인터페이스

- 실리콘 나노바늘을 통한 세포 내 분자 전달

- 뉴런·심근세포의 신호를 CMOS로 읽는 기술

- 생체신호 기반 차세대 뉴로모픽 회로 바이오+반도체 융합 기술은 미래 의료·AI칩과 직접 연결되는 분야라는 점에서 산업적 가치가 높습니다.

5. 대표 논문 5선

1) Nanomechanical oscillations in a single-C60 transistor (Nature, 2000)

세계 최초로 단일 분자 트랜지스터의 기계적 진동을 관찰. → 나노 전자소자의 시대를 연 대표 연구.

2) Kondo resonance in a single-molecule transistor (Nature, 2002)

단일 분자에서 스핀 물리학(콘도 효과)을 제어하는 데 성공. → 스핀트로닉스·양자소자 연구의 중요한 이정표.

3) Vertical silicon nanowires for biomolecule delivery (PNAS, 2010)

세포를 죽이지 않고 나노바늘을 통해 DNA·단백질을 주입. → 나노바이오 기술의 핵심 플랫폼 기술.

4) CMOS nanoelectrode array for intracellular imaging (Nat. Nanotech, 2017)

CMOS 기반 나노전극으로 세포 내부 신호를 직접 읽는 기술 개발. → 향후 뉴로모픽 칩과 연결되는 핵심 연구.

5) Bilayer Wigner crystals in 2D semiconductors (Nature, 2021)

상관전자 물리의 대표 현상인 위그너 결정을 이중층에서 관찰. → 양자컴퓨팅·초저전력 반도체 연구에 중요한 성과.

6. 왜 삼성전자는 그를 영입했을까?

1) 양자컴퓨팅·뉴로모픽 반도체 등 ‘10년 뒤 기술’을 연구해온 인물 삼

2) 성과 이미 공동 연구를 한 경험 있음

3) 기본 과학부터 응용 기술까지 폭넓게 이해하는 교수

4)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와 리더십 보유
5) 미래 반도체 산업의 중요한 키워드들을 모두 다뤄온 전문가

 

즉, 삼성전자가 미래 반도체 패러다임 전환을 준비하기 위해 데려온 “전략적 영입”에 가깝습니다.

7.  정리

박홍근 교수는 단순히 ‘학계의 천재’가 아니라,

나노–양자–바이오–반도체가 만나는 접점을 연구해온 드문 인재입니다.

 

하버드대에서의 뛰어난 연구 성과, 풍부한 논문과 인용 수,

폭넓은 연구 경험을 생각하면 삼성전자가 미래 기술을 위해 어떤 목표를 갖고 있는지 자연스럽게 읽혀집니다.

 

앞으로 그의 연구 방향과 삼성 SAIT의 전략이 어떻게 이어질지 많은 관심을 모을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